정보글,꿀팁 2016. 11. 11. 12:01

공리주의자 제레미 벤담의 머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jpg

반응형

안녕!!!!


너희들도 알다시피 제레미 벤담은 영국의 공리주의자이며, 유명한 철학자이다.


다만 벤담의 철학이 너무나도 유명한 나머지 그의 머리에 대한 썰은 좀 묻히는것 같다...


고로 오늘은 벤담 사후에 그의 머리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벤담은 엄청난 원칙주의자였고, 그 자신의 원칙에 따라 벤담의 시신은 미라가 되었는데... 상당히 흥미로워.


일단은 정보글을 지향하고 있으니 공리주의에 대해서도 간략히 설명할게... 재미있게 읽어준다면 그보다 더 바랄일은 없을것같다.

 

 

<목차> 

 

1. 공리주의란?

2. 공리주의자 제레미 벤담과 그의 머리

3. 세줄 요약

 

1. 공리주의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독자들도 자주 들어봐서 익숙할텐데, 공리주의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을 관통하는 슬로건이 바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다.


사회구성원 다수를 행복하게 만들고 만족시키는 것이 절대선이란건데, 정말 놀라우리만치 심플하면서 매력적인 철학이다.


하지만 원칙만 심플할 뿐, 실생활에 적용할 때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는게 공리주의적 원칙이다.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The ones who walk away from Omelas)이란 유명한 단편소설에도 공리주의의 모순이 지적되어 있어.


(영문학 전공 독자들은 한번쯤 읽어보았을수도 있을거야)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은 Ursula K. Le Guin이란 미국작가의 단편이다. 


오멜라스는 도시 이름인데,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 행복하고, 행복해야만 해. 단 한명을 제외하고말야.


단 한명 불행한 사람은 지하감옥에 갇힌 소녀인데, 이 소녀는 자신이 왜 감금되었는지, 감금생활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아무것도 몰라.


그래서 소녀는 자신의 불행한 운명을 매일매일 한탄하지.


오멜라스 시민들은 때때로 우울할 때 그 소녀를 보러  지하감옥에 가는데, 그녀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자신들이 행복하다고 느끼게 되는거야.


"아, 내가 불운하다고 해도 감금된 저 소녀보단 낫잖아?" 이런 식으로.


즉 절대다수의 오멜라스 시민들이 소녀를 보면서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소녀는 감옥에 갇혀있는거야.


공리주의적 원칙으로 볼 때 이 상황은 정당화될수 있겠지? 그 소녀 한명 빼고 시민 전체가 다 행복하니까.


하지만 과연 그 상황이 정의로울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사람마다 다르겠지... 이런것이 공리주의와 연관된 모순이야



2.  공리주의자 제레미 벤담과 그의 머리


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를 주창하였고, 공리주의 체계 확립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지. 


"자유론" (On Liberty) 등 유명한 저서를 남긴 공리주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도 벤담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받았어. 


벤담의 제자였던 제임스 밀의 아들이였거든...


벤담은 뼛속까지 공리주의자였어. 


살아생전엔 언제나 공리주의적 원칙을 따르며 살았고, 죽은 이후에도 공리주의적 원칙에 따라서 최대다수의 행복을 증진시키고자 했다. 


좀 극단적일수도 있는데, 벤담은 인간 사후에 그 시신을 박제해서 해부실습 등에 사용해서 공익증진에 기여해야한다고 주장했어.

이게 "오토 아이콘"이란 개념이야.


원칙주의자였던 벤담은 자기 몸부터 오토아이콘으로 만들고자 했고, 

사후에 그의 몸을 미라로 만들어 달라는 유언을 남겼어...


그의 미라는 그가 생전에 교수로 있었던 런던의 한 대학교(UCL,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 보관되었는데, 


재학생들이 학생운동 할 때 벤담 미라의 머리를 몇번 가져간 사건 이후로


머리는 따로 보관해놓고 지금 전시된 것은 밀랍으로 만든 모조품이라고 한다.


자 그럼 사진을 보자... (혐주의)


 

 

 

몸에 붙어있는 것이 모조품이고

다리사이에 있는 것이 벤담의 진짜 머리인데, 당시 기술력때문인지 머리가 완벽한상태로 보존되진 않았다고 한다.

물론 이후 학생운동 때 손상된것도 있겠지만...


3. 3줄요약


(1) 엄격한 공리주의자였던 벤담

(2) 원칙에 따라 자신의 몸부터

(3) 오토아이콘으로 바꿈


읽어줘서 고마워

 

반응형